학습 내용
- 섹션 1
- 맹자와 맹모의 밀당
- 교육으로서 헌법정신
- 랭그랑의 평생교육과 현대의 대안교육
- 성인들이 원하는 자기주도 학습
- 섹션 2
- 학교는 죽었다, 학교없는 사회
- 천재와 영재는 누구인가
- 서머힐학교와 대안교육
- 21세기 다문화 사회와 교육현실
- 섹션 3
- 교사는 성직자냐 노동자냐
- 땅에 떨어진 교권과 교사의 권위
- 태학이 고구려를 떠받혔는가
- 통일신라로 향한 화랑도
- 섹션 4
- 원효는 고승일까 파계승일까
- 사학의원조 문헌공도 최충
- 좌주문생제의 고려과거제
- 지눌의 돈오점수 정혜쌍수
- 섹션 5
- 조선을 반석에 올린 성리학
- 조선 성균관은 국립대학의 모범인가
- 지방의 교육기관인 향교와 서원
- 훈장아래 접장의 서당교육
- 섹션 6
- 과거로 입직과 음서로 관리 되는 길
- 퇴계이황의 이기호발설
- 율곡이이는 조선의 아리스토텔레스
- 실사구시지학의 태동과 한계
- 섹션 7
- 성호이익의 여성교육 무용론
- 다산은 시대의 반항아였다
- 갑오개혁과 근대정신의 발원
- 서울대학교 전신,경성제국대학
- 섹션 8
- 황국신민으로 개조하고자 한 일제
- 국민학교와 초등학교 차이점
- 잘 못 쓰고 있는 스파르타식 교육
- 인류최초의 사교육 강사들, 소피스트
- 섹션 9
- 평생 단 한줄의 글도 남기지 않은 소크라테스
- 이상주의 플라톤과 현실주의 아리스토텔레스
- 스콜라와 교부의 철인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