학습 내용
- 섹션 1
- 르네상스는 성공했는가
- 루터의 반항정신과 교육관
- 로크의 백지설과 중성설
- 베이컨이 주장한 4대 우상론
- 섹션 2
- 루소의 자연주의사상과 바람끼
- 에밀은 실존 인물인가
- 도덕과 인격으로 밀랍된 칸트
- 교성이라 불린 사내 페스랄로찌
- 섹션 3
- 교육학의 아버지 헤르바르트
- 은물로 교육을 정의한 유치원의 창시자, 프뢰벨
- 유심론, 관념론과 교육
- 실강을 가장 못한 듀이의 프래그머티즘
- 섹션 4
- 20대에 시카고대학총장을 했던 허친스
- 1957년 스푸트니크 충격과 브루너
- 실존은 본질에 선행한다 실존주의
- 네오마르크시즘의 비판이론
- 섹션 5
- 시대와 불화한 포스트모더니즘
- 사교육으로 내몬 신자유주의
- 스키마의 창시자 피아제
- 프로이트는 왜 성에 집착했는가
- 섹션 6
- 콜버그의 미국중산층의 도덕성이론
- 지능과 학습은 얼마나 관련이 있을까
- 새로운 관점의 가드너 지능이론
- 브레인스토밍과 창의력
- 섹션 7
- 퇴행을 차단한 매슬로우
- 학습과 자아발견
- 인간과 개의 구분 모호, 파블로프
- 스키너박스와 조작적 조건화설
- 섹션 8
- 강화와 벌의 차이점
- 형태주의자들의 실험, 파이현상과 실험
- 왜 망각은 일어날까
- 학습에서 전이란
- 섹션 9
- 다양한 모습의 방어기제
- 피그말리온 효과와 유사한 현상
- 발견학습의 창시자, 브루너